본문 바로가기
필부,匹夫

📌 현대 한국 사회의 파시즘적 경향과 그 뿌리: 역사와 현재의 상호작용

by infine.chan.s 2025. 2. 4.

1. 🔎 들어가며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단순한 일시적 현상을 넘어, 역사적 맥락과 구조적 요인에 뿌리를 둔 파시즘적 경향이 나타나고 있어요.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과 이에 대한 젊은 남성들의 반발, 서북청년단 및 기독교 반공주의의 유산, 그리고 전광훈 목사 같은 극우 종교 지도자들의 행보 등이 이러한 흐름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최근 전한길 강사의 정치적 발언과 행동은 사회 내부의 갈등을 키우고, 대중을 선동하며, 허위정보를 퍼뜨리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2. 🏛 역사적 배경과 구조적 요인

🔥 반공주의와 극우 정치의 형성

  • 서북청년단과 기독교 반공주의 유산:
    서북청년단은 1940~50년대 기독교 반공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좌파 사상을 공산주의로 규정하고 폭력적 탄압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했어요. 이러한 흐름은 해방 이후 친일 세력과 결합하여 반공 이데올로기를 확산시키면서 현대 극우 정서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서북청년회 제주도 파견 출처 : 제주의소리(http://www.jejusori.net)

  • 정치적 연속성: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오늘날 극우 반공주의와 권위주의 정치 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내 특정 집단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때 극단적 이념을 수용하는 토양이 됩니다.

⚖ 정치적 이슈와 극우 세력의 결집

  •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과 젊은 남성들의 반발:
    문재인 정부는 여성 할당제 및 여성 우대 정책 등을 강조하며 성평등 정책을 추진했어요. 하지만 일부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는 이를 역차별로 인식하며 박탈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온라인 커뮤니티 중심으로 급격한 우경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 전광훈과 극우 종교 지도자의 정치 개입:
    전광훈 목사 같은 극우 종교 지도자들은 “하나님이 문재인을 탄핵하라” 같은 극단적 발언을 통해 보수층을 결집시키고, 종교적 권위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수단체 집회 연설하는 전광훈 목사 [연합뉴스]


3. 🏴 현대적 논란과 청년층의 우경화

  • 전한길 강사의 권위주의적 발언과 대중 선동:
    전한길 강사는 “나라 살리는 일”을 주장하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계몽령)을 지지하고, 권위주의적 정책을 옹호하는 발언을 해왔어요. 이는 파시즘이 강조하는 절대적 국가주의와 비슷한 모습입니다.
  •  

공무원 시험 역사1타 강사로 유명한 전한길 씨가 지난 3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꽃보다전한길'에서 "절대 대통령을 탄핵시키면 안 된다"며 읍소하고 있다. (유튜브 갈무리) ⓒ 뉴스1

  • 청년층의 우경화 심화:
    기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던 젊은 남성들의 박탈감과 우경화는 전한길 강사의 정치적 발언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어요. 일부 제자와 수강생들은 그의 극우적 주장에 공감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그의 정치적 행보가 강사로서의 신뢰를 훼손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 김민전과 반공청년단(백골단)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방송 캡처

4. 🌍 프랑코주의와 프랑스의 극복 사례

  • 프랑코 독재와 극복:
    스페인의 프랑코 정권은 독재적 권위주의를 기반으로 반공주의와 국가주의를 결합한 체제를 운영했어요. 하지만 프랑스 등 서구 국가들은 극단주의를 청산하고 민주주의적 합의를 통해 극복한 사례를 보여주었습니다.

스페인의 독재자로 스페인 내전으로 1930년대 이후 피카소와 반목했던 프랑코. wikicommons 자료


5. 🏛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과제

  • 역사적 청산과 교육 개혁이 필요하다.
  • 정치와 종교는 철저히 분리되어야 한다.
  • 대중이 허위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해야 한다.